반응형

리튬 14

유럽, 희토류 등 희귀금속 직접 채굴·가공 추진

유럽은 희토류·리튬 등 희귀금속 對中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자 스웨덴, 스페인, 프랑스, 포르투갈, 독일 등에서 광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EU ‘핵심 원자재법·지속가능한 배터리 법안 수정안’ 등도 유럽 내 희귀금속 채굴 확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1. 유럽의 희토류·리튬 등 희귀광물 對中의존도 확대에 대한 경각심 증가 1) 이차전지·친환경 발전 등으로 유럽의 희토류·리튬 등 희귀금속 수요 급증했는데 유럽 자급률 저조 ▶ EU 집행위원회에 따르면 2020년 말 EU에서 소비되는 희토류의 98%를 중국이 공급 -. EU 집행위원회, 2030년까지 희토류 수요 5배 증가 예상 ▶ 희토류는 1980년대까지 세계 각지에서 생산되었으나 채굴·제련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로 서방이 개발을 포기했고, 중..

리튬 광상 종류(경암, 염호) 및 채굴·제련 방법

☞ 최근 전기차 배터리 양극재의 핵심 원료인 리튬 가격이 사상 최고치(약 1억원/톤)를 경신하는 등 우리 업계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배터리 원자재 핵심 광물인 리튬의 주요 산지가 어디인지, 어떠한 방식을 통해 채굴되고 제련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1. 리튬 매장 및 활용 1) 대부분의 리튬은 토양, 암석, 그리고 자연수에 미량(0.006%) 분포하며,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순수한 형태로는 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화합물 형태로 가공 후 사용 ▶ 상업성이 있는 리튬은 주로 경암형 광산이나 염호에서 산출되며 세계적으로 특정 국가에 편중되어 있음 ▶ 리튬은 산출지(경암·염호)에 따라 제련방식과 1차 생산물이 상이함 ▶ 배터리 업계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리튬 화합물은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임 2. 리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