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석유 5

석유산업 3편 - 석유 정제·활용

1. 석유 정제1) 원유에 포함된 다양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끓는점의 차이를 활용하여 증류, 탈황, 분해, 개질 등 석유 정제(Oil Refining) 공정을 거쳐 각종 석유제품과 반제품 생산 ▶ 석유정제능력이란 상압증류장치에서 하루동안 처리하는 물량으로 B/D(Barrel Per Callender Day)로 표기 ① 상압증류공정(Atmospheric Distillation) : 대기압 정도의 상압에서 원유 성분의 끓는점 차이로 원유를 증류하는 공정으로 가스회수시설, 탈황시설 등을 거쳐 LPG, 휘발유, 등유, 경유 등 석유제품 생산 ② 감압증류공정(Vaccum Distillation) : 상압보다 낮은 압력에서 증류하는 방법 (열분해 방지)으로 상압증류공정에서 남은 잔사유(약 40%)를 진공에 가까운 상..

석유산업 2편 - 석유 탐사·개발·생산·운송

1. 석유 탐사 1) 석유매장이 가능한 지역을 대상으로 지구표면 암석분포 조사, 지구물리학자의 정밀조사 등을 통해 유망지역을 선정하고, 탐사공 시추 등을 통해 경제성이 있는 석유의 존재여부 확인 ① (지표지질조사) 항공기·인공위성 등을 통한 항공사진이나 원격탐사자료 활용, 습곡·단층·균열대 직접 탐사 등을 통해 퇴적분지 형상, 근원암, 저류암 발달 상황 등을 분석하여 유전 형성 가능성 추정 ② (물리탐사) 탄성파탐사, 중력·자력탐사, 전기탄성파탐사, 3D·4D 탄성파탐사 등을 통해 대상 지역의 국지적인 중력 또는 자력의 이상 변화를 측정하여 지하 지질구조, 부존자원 등 탐사 ③ (시추탐사) 물리탐사 결과에 따라 부존자원의 위치, 규모와 성질 등이 추정되면 추가적으로 지하에 직접 구멍을 뚫어 암석샘플 채취..

석유산업 1편 - 석유란?

1.석유(Oil)란? 1) 천연적으로 산출되는 액체 탄화수소의 혼합물로 탄소(C)와 수소(H)를 중심으로 조합된 무수한 화합물의 혼합물로 천연적으로 산출된 원유(Crude Oil)와 원유를 정제한 석유제품(Petroleum product)으로 구별 2) 우리가 활용하는 다양한 에너지원 中 가장 폭넓은 용도와 유용성을 보유하여 수송·산업·가정용 에너지원 뿐만 아니라 석유화학산업의 기초원료로도 활용 ▶ 현재 석유는 전세계 에너지 소비의 약 31%를 차지하는 주요 에너지원으로 IEA, OPEC 등 해외전문기관들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화석연료 소비 절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당기간 그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2. 석유의 특성 1) 원유(정제하지 않은 석유)는 물보다 가볍고, 독특한 냄새를 풍기는 암녹색 또는..

KEEI 중기 에너지수요전망 (2021~2026)

1. 에너지 소비 동향 1) 총에너지 소비는 2016~2021년 기간 연평균 0.8% 증가하여 305.3백만 toe를 기록 ▶ 총에너지 소비는 2016~2018년까지 2~3% 수준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9년과 2020년 각각 1.5%, 3.6% 감소하였 고 2021년에는 2년 연속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로 4.5% 증가함 -.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총에너지 소비 정점은 2018년의 307.6백만 toe이며, 이후 2년 연속 감소한 뒤 2021년에 대폭 증가했으나 여전히 2018년보다는 낮은 수준임 ▶ 국가 에너지효율 지표로 사용되는 에너지원단위(toe/백만원)는 2016~2020년 기간 과거에 비해 빠른 속도로 개선(하 락)되었으나 2021년에는 에너지 소비가 GDP보다 빠르게 반등하며 소폭 악화됨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