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크라이나 2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물류에 미치는 영향

1. 우리나라는 러시아와의 교역에 항공 혹은 해상→육송 물류 활용 중 1) 2021년 러시아 총 교역액은 7,894억 달러, 한국과의 교역은 273억 달러로 전체 교역의 3% 차지 2) 2021년 총 물동량 847만TEU로, 해상 404만TEU, 항공 148만TEU, 육송 295만TEU 기록, 한국은 러시아와의 교역에 해상 이동 후 육송 방식 및 항공 물류 방식을 활용 중임 2. 육송 – 시베리아 횡단철도(TSR)가 대표적인 철도 노선 1) 시베리아 횡단철도(TSR)가 주요 철도노선이며, 중국의 중국횡단철도(TCR), 몽골횡단철도(TMR), 만주 횡단철도(TMR)와 연결 3. 해상 – 극동항·노보로시이스크·상트페테르부르크항이 對한국 주요 항만 1) 총 67개 항만이 있으며, 총 화물 취급량은 2021년 ..

EU, 1.27일 對러시아 제재 6개월 연장 발표

EU 이사회는 러시아 경제 부문에 적용 중인 제재 기한을 ’23.7.31일까지 6개월 연장했다. 동 제재조치로 러시아산 화석연료·철강·시멘트·셀룰로오스·합성수지 등 원자재·중간재 수출이 제한되어 글로벌 공급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1. EU 이사회, 경제 부문에 적용 중인 對러 제재 조치를 오는 7.31일까지 6개월 연장*한다고 발표 -. EU는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에 대응해 ’14년 이후 경제 제재(특정 러시아 은행·기업의 EU 주요 자본 시장 접근 제한, 러시아 금융 기관에 대한 금융 지원·중개 금지, 방위 관련 자재 수입·수출 금지 등)를 연장해옴 2) 주요 수출 품목 수출 차단을 통한 러시아 산업경쟁력 악화 및 자금 통제를 위해 EU는 러시아 개인・기업・기관의 EU 시장접근 제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