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계화 2

글로벌 가치 사슬(GVC)과 공급망 관리(SCM)

1. 글로벌 가치 사슬(GVC : Global Value Chain) 1) 세계화의 진전으로 국경을 초월한 분업이 가능해지면서 기업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제품의 생산과정을 세분화하여 각각 가장 효율적인 국가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가치사슬을 확장해 왔음 2) 과거에는 수입국에서 소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최종재 교역(전통적 교역)이 주를 이루었으나, 글로벌 가치사슬의 확장에 따라 중간재 교역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생산 및 판매 과정에 2개 이상의 국가가 참여하게 되면서 각 단계에서 발생한 부가가치도 여러 국가로 나뉘어 귀속 3) 이에 따라 상품 수출로 인해 발생하는 부가가치를 최종 원산지 국가가 독점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전통적인 무역분석 방법에 한계가 드러났으며, 국제무역을 총액 기준(gross valu..

“교역의 무기화” - 폴 크루그먼(Paul Krugman)

☞ 미국의 저명한 경제학자이자 뉴욕시립대 교수인 폴 크루그먼이 뉴욕타임즈에 게재한 기고로 아래와 같이 말했다. 1. 배경 1) 세계대전 이후 글로벌 무역은 평화에 기여한다는 관점을 기반으로 부상 ▶ 세계화는 보호무역주의 철폐와 관세 축소를 통한 자유무역이 세계 평화를 촉진한다는 주장에서 출발하였음 ▶ 독일은 세계 경제통합이 민주화와 법치를 장려한다는 ‘무역을 통한 변화’ 정책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과도 경제협력을 추구하고자 노력 2) 그러나 일부 국가가 정치적으로 역행하며, ‘상호의존성의 무기화 (weaponized interdependence)’가 이루어지기 시작 ▶ 러시아, 중국 등의 국가는 1인 통치체제로 회귀하였으며, 자국의 공급망 內 위치를 악용하여 他 국가에 피해를 입히는 ‘나쁜 행위자’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