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에너지경제연구원 2

국제유가 및 시장동향

1. 현물 유가1) 1월 첫째 주 국제 유가는 중국의 신규 코로나 확진자 수 급증, 세계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하락했고, 러시아 원유생산 감소, 미국 원유재고 증가 등은 하락폭을 제한함. ▶ 중국이 그간 강도 높게 유지하던 코로나19 방역 규제를 대부분 철회하면서 중국 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중국 의료시스템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 -. 중국은 확진자 수 급증에 따라 일일 확진자 통계 발표를 중단했고, 또한 자체적인 기준으로 사망자를 판단하여 적절한 의료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됨 -.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 상하이 한 화장장이 평소대비 5배 더 많은 시신을 화장하고 있다고 보도했고, 미 워싱대 연구소는 올해 중국 코로나19 사망자가 100만 명에 달할 것이라 추산함..

KEEI 중기 에너지수요전망 (2021~2026)

1. 에너지 소비 동향 1) 총에너지 소비는 2016~2021년 기간 연평균 0.8% 증가하여 305.3백만 toe를 기록 ▶ 총에너지 소비는 2016~2018년까지 2~3% 수준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9년과 2020년 각각 1.5%, 3.6% 감소하였 고 2021년에는 2년 연속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로 4.5% 증가함 -.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총에너지 소비 정점은 2018년의 307.6백만 toe이며, 이후 2년 연속 감소한 뒤 2021년에 대폭 증가했으나 여전히 2018년보다는 낮은 수준임 ▶ 국가 에너지효율 지표로 사용되는 에너지원단위(toe/백만원)는 2016~2020년 기간 과거에 비해 빠른 속도로 개선(하 락)되었으나 2021년에는 에너지 소비가 GDP보다 빠르게 반등하며 소폭 악화됨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