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장자료/원재료 시장 현황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에 따른 한국의 기회 및 위협요인 3편 - 주요국 대비 경쟁력

N Crystal 2023. 4. 2. 09:00
반응형

1. (미세공정 기술경쟁력) 한국과 대만이 3나노 공정 개발에 성공하여 세계 선두를 달리고 있음

1) (상위권 : 한국, 대만) 삼성전자가 올해 6월 3nm 제품 양산에 세계 최초로 성공한 데 이어 TSMC도 9월에 3nm 기술력 확보에 성공하면서 다른 기업들과의 기술력 격차를 확대
▶ 한국은 3나노대 기술력 진입도 대만에 앞섰을 뿐만 아니라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기술을 보유하면서, 세계 D램 메모리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2022년 2분기 D램 시장점유율(%) : (1위) 삼성 43.4, (2위) SK하이닉스 28.1, (3위) 마이크론 23.6
2) (중위권 : 미국, 중국) 양국의 대표적인 반도체기업인 인텔과 SMIC의 기술 수준은 각각 10nm, 14nm로 중위권에 머물러 있음
3) (하위권 : 일본) 일본은 1990년대까지 메모리반도체 분야의 선도국이었으나 미국의 견제, 가격경쟁력 약화 등으로 반도체 산업이 쇠퇴하면서 기술력이 주요국 대비 뒤쳐진 수준
▶ 일본의 반도체 제조업체 Kioxia는 낸드플래시 반도체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으나 2021년 기준 낸드플래시 세계시장 점유율은 6.4%에 불과
▶ '21년 낸드플래시 시장점유율(%) : 삼성(51.5), 인텔(19.6), SK하이닉스(9.7), Kioxia(6.4) 등

 

2. (수출경쟁력) 시스템반도체는 대만이, 메모리반도체는 한국이 주요국 중 1위를 차지

1) RCA(현시비교우위지수)와 TSI(무역특화지수)는 경제규모가 서로 다른 국가들 간에 특정 상품의 수출 경쟁력을 비교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임
▶ RCA 수치가 1보다 크면 주요국 대비 경쟁력이 강하고, 1보다 작으면 경쟁력이 약하다고 해석
▶ TSI 수치는 0보다 작으면 수입에 특화, 1보다 크면 수출에 특화된 구조라고 해석
2) 시스템반도체 수출경쟁력은 대만이 RCA 9.66, TSI 0.48로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고, 우리나라는 RCA 1.99, TSI 0.12로 대만에 이어 주요국 중 2위를 차지
3) 메모리반도체 수출경쟁력은 우리나라가 RCA 6.61, TSI 0.56으로 주요국 중 1위를 차지
 

 

반응형

3. (생산능력) 자국 내 반도체 생산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대만(1위)과 한국(2위)

1) ‘자국 내 반도체 생산량’이란 국내·해외기업을 막론하고 해당 국가 내에서 생산된 반도체의 물량을 의미하는데, 최근 공급망 안정성 확보가 중요해지면서 자국 국경 내에서 충분한 자급능력을 갖추었는지도 중요한 경쟁력 요소로 떠오르기 시작함
▶ 예를 들어 미국의 「반도체 및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은 타국 반도체기업이 미국 내에 생산기지를 이전하도록 유인책을 제공하는 정책임
2) 2021년 기준 대만 내에서 생산되는 반도체는 전 세계 생산량의 24.2%로 전 세계 1위를 차지하였고, 이어서 한국(19.9%), 중국(17.6%), 일본(14.7%), 미국(10.2%) 순으로 나타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