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에너지 7

한국형 RE100 제도와 주요 이행수단

1. 글로벌 RE100 1) ’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하는 자발적 캠페인으로 다국적 비영리 단체인 The Climate Group과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위원회가 주도 2) 연간 0.1TWh 이상 전력을 소비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재생에너지 100% 달성을 위한 공식적인 공약 제시가 요구되며 ’22.11월 기준 약 388개의 글로벌 기업이 참여 중 2. 한국형 RE100(K-RE100) 1) (배경) 국내 기업의 자발적인 재생에너지 사용 촉진 및 국내 재생에너지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글로벌 RE100과는 별개로 한국형 RE100 제도 마련 2) (개념) 국내 전기소비자(기업)가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하고, ‘재생에너지 사용확인..

KEEI 중기 에너지수요전망 (2021~2026)

1. 에너지 소비 동향 1) 총에너지 소비는 2016~2021년 기간 연평균 0.8% 증가하여 305.3백만 toe를 기록 ▶ 총에너지 소비는 2016~2018년까지 2~3% 수준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9년과 2020년 각각 1.5%, 3.6% 감소하였 고 2021년에는 2년 연속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로 4.5% 증가함 -.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총에너지 소비 정점은 2018년의 307.6백만 toe이며, 이후 2년 연속 감소한 뒤 2021년에 대폭 증가했으나 여전히 2018년보다는 낮은 수준임 ▶ 국가 에너지효율 지표로 사용되는 에너지원단위(toe/백만원)는 2016~2020년 기간 과거에 비해 빠른 속도로 개선(하 락)되었으나 2021년에는 에너지 소비가 GDP보다 빠르게 반등하며 소폭 악화됨 2)..

필수 에너지·희토류 안보 및 온쇼어링 법안 (미국)

☞ 상원에 ‘필수 에너지․희토류 안보 및 온쇼어링 법안’ 계류 중 ☞ △전략적 물자 비축 △원산지 공개 △중국 희토류 배제 △불공정 무역 조사 등 내용 ☞ 미국은 우방국의 대중 희토류 의존도 관리까지 요구할 방침 ☞ 중국 희토류 3대 수입국인 우리나라도 향후 대응 모색 필요 1. 법안 개요 1) 현재 美상원에 ‘필수 에너지․희토류 안보 및 온쇼어링 법안’* 계류 중 * REEShore Act : Restoring Essential Energy and Security Holdings Onshore for Rare Earths Act ▶ 일명 ‘리쇼어 법안’(REEShore Act)은 공화당 소속 톰 코튼(Tom Cotton)과 민주당의 마크 켈리(Mark Kelly) 상원의원 에 의해 초당적으로 발의(1...

에너지 주요 용어 해설

1) 1인당 에너지소비(Energy consumption per capita) ▶ 해당 기간(주로 1년)에 공급 혹은 소비된 총에너지의 양을 인구수로 나눈 값을 의미하며 분석 목적에 따라 최종에너지를 기준으로 하거나 산업 혹은 가정 부문 만을 기준으로 하여 산출하기도 함 2) 국제 벙커링(International Bunkers) ▶ 현행 국가 에너지밸런스에서는 국적이나 선박종류의 구분 없이, 외항선박에 공급되는 연료유의 양을 의미함 3) 난방도일/냉방도일(Heating Degree Days/Cooling Degree Days) ▶ 일평균 외기 온도가 기준 온도(18℃) 보다 높거나(냉방) 낮아질(난방) 경우 기준 온도와의 차이를 일정 기간 동안 누적하여 합산한 값임 4) 납사(Naphtha) ▶ 원유의 ..

세계 가스시장 수급 불안과 유럽 국가의 동절기대책 및 전망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의 對유럽 가스 공급이 감소되자 가스 가격은 잇따라 최고치를 경신하였고 변동성도 심화되었음. 현재 러시아産 가스의 공급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세계 가스 시장은 동절기를 대비하고 있음. ☞ 가격 상승과 타이트한 공급 여건으로 유럽 대부분의 지역에서 가스 소비가 감소하는 가운데, 러시아가 유럽으로 가스 공급을 완전히 중단할 경우에 대비해 유럽 국가는 최소 가스 재고확보 의무화, LNG 수입 설비 증설, PNG 수입 다각화, 가스 절약 조치 등 다양한 조치를 실시하였음. ☞ 유럽의 가스 위기에 따른 가스 가격 상승은 아시아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그 정도는 국가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중국과 일본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던 반면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는 특히 심각한 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