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자력 산업 동향 3

세계 주요국 원자력발전 산업동향 3편 - 폴란드·체코·이집트

1. 폴란드 1) (현황) 폴란드는 ’33년까지 최초 원전 건설을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해 현재 90% 이상인 석탄화력발전 의존도를 낮추고 러시아에 대한 석유·가스 의존도를 줄이고자 함 ▶ 2021년 폴란드의 총 발전량은 180.6TWh이며 발전원별 비중은 석탄 70%, 가스 11%, 재생에너지 (풍력·태양광·지열) 11%, 바이오매스 5%, 수력 2%, 석유 1%임 2) (주요 정책) ’21.2월 폴란드 정부는 에너지 정책(PEP2040)을 채택하여 탄소배출 저감과 전력공급 안정성 제고를 위해, ’43년까지 총 6~9GW 규모의 원자로 6기 건설(’33년 1~1.5GW규모 원자로 1호기 최초 가동, ’43년까지 2~3년마다 추가로 나머지 원자로 건설) 계획을 발표함 ▶ PEP2040은 ’30년까지 최종..

세계 주요국 원자력발전 산업동향 2편 - 중국·프랑스·영국

1. 중국 1) (원전 현황) 중국의 원자력 발전량은 ’12년 약 36TWh(중국 內 전체 발전량의 약 2%)에서 정부의 적극적 지원에 힘입어 3배 이상 증가하여 ’21년 약 146.88TWh(중국 內 전체 발전량의 약 5%) 달성 ▶ ’21년 중국의 에너지원별 발전량은 화력(71.1%), 수력(13.4%), 풍력(7%), 원자력(5%), 기타(3.5%)로 구성 ▶ ’22년 상반기 기준 가동중인 원자로는 57기(총 설비 용량 5,560만 ㎾), 건설 중인 원자로는 23기로(총 설비 용량이 2,419만 ㎾) 중국은 원자력 설비용량 전세계 1위(1991년 친산원전 최초 설립) 2) (최근 동향) ’22.8월, 중국의 주요 제조업 허브인 쓰촨성이 폭염으로 인한 전력난으로 성내 생산시설 가동을 전면 중단시키면서..

세계 주요국 원자력발전 산업동향 1편 - 미국·러시아·독일

1. 미국 1) (원전 현황) 미국은 전세계 원자력 발전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 원자력발전 국가로 ‘21년 한 해 동안 원자력발전으로 약 778TWh(미국 內 전체 전력의 약 19%) 전력 생산 ▶ ’21년 미국 에너지원별 발전량은 천연가스(37%), 석탄(24%), 원자력(19%), 수력(7%), 풍력(7%), 기타(6%)로 구성 ▶ ’21년말 기준 28개 주의 55개 원자력 발전소에서 상업용 원자로 93개 가동 중(1958년 최초 설립) 2) (최근 동향) 美 최대 발전원인 천연가스 가격이 코로나19 초기였던 ’20년과 비교해 5배 이상 상승 (8월기준 100만BTU당 9.33달러)하여 최근 원자력 발전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짐 ▶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원전과 세계적 기술력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