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료기기 제조업 공급망 병목현상
1)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미뤄졌던 무릎 및 고관절 등 의료수술이 급증하고 있으나, 인플레이션으로 더 비싸진 장비와 부품 등을 이유로 관련 업계의 구매 및 생산 속도가 늦어지는 상황
▶ 의료기기 업계 전반에 걸쳐 장치를 만드는 데 필요한 특수 플라스틱 및 반도체, 금속, 수지 등이 모두 부족 [글로벌 헬스케어기업 Abbott Laboratories]
▶ 생명에 직결되는 문제이기에 의료기기 기업들이 반도체 조달을 위해 연방 정부와 협력하여 조달 우선권을 확보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급등함 [Stryker社 CEO Kevin Lobo]
2) 의료 시술량은 팬데믹 초기 최악의 수준에서 회복되고 있고, 일부 의료기기 제조업체는 최근 실적이 향상되었지만, 여전한 공급망 분절로 기업들의 시장 대응 능력이 온전히 회복되지는 못한 상황
▶ ’22년 의료기기 산업 매출액은 전년 대비 7.8% 증가한 4,987억 달러 전망. ’21년의 경우 전년 대비 8.1% 상승, ’20년의 경우 팬데믹으로 5.7% 감소했던 상황임 [컨설팅회사인 Frost & Sullivan]
▶ 업계에서는 타 산업군 대비 의료산업계의 공급망 구축을 위한 투자가 부족했다고 분석. 업계 전반의 높은 이윤으로 효율적 공급망 구축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왔기 때문임
2. 업계 주요 기업 동향
3. 시사점
1) 우리나라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약 9조1,341억원으로 국내 생산과 수입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의료기기 1,960종 중 국내 생산이 전혀 없는 제품이 725개에 달하는 만큼 의료기기 공급망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2) 정치, 경제, 국제, 시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제조업체의 배터리 원자재 공급망 직접 개입 등 최근 전기차 산업 동향 (0) | 2023.02.26 |
---|---|
「한-싱가포르 디지털동반자협정」 주요 내용 (0) | 2023.02.14 |
전기차 배터리 스왑핑 우리나라 도입 검토 및 시사점 (0) | 2023.02.12 |
한국형 RE100 제도와 주요 이행수단 (0) | 2023.02.11 |
최근 對중국 무역적자 요인 분석 및 향후 전망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