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정치, 경제, 국제, 시사/정치

핵심광물 2편 - 주요국 핵심광물 확보전략 (미국)

N Crystal 2023. 2. 2. 09:00
반응형

1. 미국 핵심광물 현황

1) 美지질자원국(USGS)은 2018년 이후 주기적으로 광물의 수급, 생산집중도, 정책 방향을 기반으로 주요 광물 목록을 업데이트하고 있음
2) 2022년 지질자원국은 기존 35종에서 50종으로 대폭 확대된 핵심광물 개정안을 발표함
-. 희토류 17개 중 14개 원소를 개별적으로 지정하였으며 백금족(6개)도 5개 원소를 각각 지정
-.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2018년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니켈과 아연을 새로 포함시키고, 기존 품목 중 5개 품목(헬륨, 칼륨, 레늄, 스트론튬, 우라늄)은 제외

 

반응형

 

2. 미국 핵심광물 확보전략
1) 미국 내 핵심광물 생산·제조역량 강화
-. (자국 내 채굴 및 가공기술 강화) 美정부는 ‘인프라투자 및 일자리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을 통해 지질자원국에 ’26년까지 5.1억 달러를 배정하여 자원탐사, DB 구축, 광물시설 건설을 추진할 예정이며, 광물 가공 시설의 내재화를 위해 노력 중
-. (배터리 등 미래산업용 핵심광물 투자) 인프라법(IIJA)에는 핵심광물 관련 기술개발, 생산확대, 배터리부품 제조 등을 위해 에너지부가 5년간 70억 달러 이상을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
-. (재활용 확대) 핵심광물의 공급망 강화 검토 보고서에서는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산업계에 설계 표준 채택 독려, 주정부·지자체의 단일 수거 절차 마련 등의 정책을 제안
2) 우방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사슬 구축 - 자국내 생산이 어려운 광물을 중국 이외 국가로부터 조달하기 위해 다자간 협의체를 구축하고 우방국 중심의 핵심광물 공급망 연결을 추진
-. 바이든 행정부는 4대 품목 공급망 보고서에서 네오디뮴 영구자석의 각 국가별 공급망 현황을 파악하고 중국 이외의 국가를 활용한 공급망 연결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음
-. EU, 일본, 호주 등 우방국 중심의 다자간 협의체를 통한 핵심광물 공급망 연결 노력도 꾸준히 진행중
-. ’21.3월 미국·일본·호주·인도 안보협의체인 쿼드(Quad)의 첫 정상회담에서는 중국의 희토류 독점을 견제하기 위해 희토류 교역 관련 규정 신설, 생산기술 공동개발, 각국 비축량 보고 의무화 등을 검토
-. ’22.6월 10개국(한국, 호주, 캐나다, EU 집행위, 일본, 독일 등이 포함)이 참여하는 ‘광물 안보 파트너십 (MSP, Minerals Security Partnership)’을 출범시키고 주요 광물의 생산, 처리, 재활용에 이르는 전체 공급사슬을 연결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발표
-. 이 외에도 14개국이 참여하는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내 공급망 분야, 미국·유럽·일본 3개국과의 연례 핵심광물 포럼 등 국제적 협력 강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