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73

국제유가 및 시장동향

1. 현물 유가1) 1월 첫째 주 국제 유가는 중국의 신규 코로나 확진자 수 급증, 세계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하락했고, 러시아 원유생산 감소, 미국 원유재고 증가 등은 하락폭을 제한함. ▶ 중국이 그간 강도 높게 유지하던 코로나19 방역 규제를 대부분 철회하면서 중국 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중국 의료시스템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 -. 중국은 확진자 수 급증에 따라 일일 확진자 통계 발표를 중단했고, 또한 자체적인 기준으로 사망자를 판단하여 적절한 의료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됨 -.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 상하이 한 화장장이 평소대비 5배 더 많은 시신을 화장하고 있다고 보도했고, 미 워싱대 연구소는 올해 중국 코로나19 사망자가 100만 명에 달할 것이라 추산함..

미상무부 반도체 수출통제안(’22.10)

1. 행정조치 개요 및 배경1) 美상무부의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안 2건 발표(10.7) ▶ 동 수출통제안의 담당 부서는 상무부 산하 산업안보국(BIS) -. 美행정부는 중국이 소수민족 감시, 모의 핵실험, 최신무기 개발에 미국 기술로 제작된 첨단반도체가 유용된 점을 비판하며 직접적인 규제 시행 ▶ 첨단·슈퍼컴퓨팅 반도체(Advanced Computing and Semiconductor Rule) -.해외직접생산규칙(Foreign Direct Product Rule)에 의거한 특정 사양의 첨단 및 슈퍼컴퓨터용 반도체 수출통제 -. 규제 제품·대상 개정을 통한 상무부 통제리스트(Control List) 강화 ▶ 미검증기업리스트최신화및규칙개정(Entity List Criteria and UVL Rule) -...

반도체 시장 및 공급망 동향

1. 반도체 산업 공급망 동향 1) 반도체 공급망 구조 ▶ 반도체 공급망은 (1) 연구개발, (2) 실리콘 잉곳(ingot) 절단, (3) 웨이퍼 완제품 제조, (4) 다이(die) 제작, (5) ATP 공정, (6) 최종재 재고 선적, (7) 소비재 내장, (8) 최종 소비자의 구매 등 크게 8개 구조로 구성 ▶ 단계별 분업구조가 형성되어, (1) 지식재산권과 라이선스(license) 대여 기업인 용역 전문기업(Chipless), (2) 설계 전문기업(Fabless), (3) 생산·공정 전문기업(Foundry), (4) ATP 공정에 특화된 조립시험 전문기업(Packaging & Testing)이 존재 2) 반도체 종류별 생산구조 ▶ 정보 기억·저장 장치인 메모리 반도체는 표준 설계에 맞춘 대량 생산이..

2022년 11월말 외환보유액

1. 2022년 11월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161.0억달러로 전월말 (4,140.1억달러) 대비 20.9억달러 증가▶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왑(일시적 감소 요인),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감소에도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미달러 환산액이 증 가한 데 기인 -. 11월중 미달러가 약 3.5% 평가절하 됨(미달러화 지수 기준) 2. 외환보유액은 유가증권 3,656.2억달러(87.9%), 예치금 266.8억달러(6.4%), SDR 146.5억달러(3.5%), 금 47.9억달러(1.2%), IMF포지션 43.6억달러(1.0%)로 구성 3. 2022년 10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9위 수준

KEEI 중기 에너지수요전망 (2021~2026)

1. 에너지 소비 동향 1) 총에너지 소비는 2016~2021년 기간 연평균 0.8% 증가하여 305.3백만 toe를 기록 ▶ 총에너지 소비는 2016~2018년까지 2~3% 수준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9년과 2020년 각각 1.5%, 3.6% 감소하였 고 2021년에는 2년 연속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로 4.5% 증가함 -.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총에너지 소비 정점은 2018년의 307.6백만 toe이며, 이후 2년 연속 감소한 뒤 2021년에 대폭 증가했으나 여전히 2018년보다는 낮은 수준임 ▶ 국가 에너지효율 지표로 사용되는 에너지원단위(toe/백만원)는 2016~2020년 기간 과거에 비해 빠른 속도로 개선(하 락)되었으나 2021년에는 에너지 소비가 GDP보다 빠르게 반등하며 소폭 악화됨 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전망 발표

"Confronting the Crisis"'23년 세계경제 성장률 2.2%, 한국경제 성장률 1.8% 1. OECD는 11.22일(화) 프랑스 시간 11:00(한국시간 19:00)에 OECD 경제전망(OECD Economic Outlook)을 발표 *. (OECD 경제전망) 매년 2회(5~6월, 11~12월), 세계경제+회원국+G20 국가 대상 (OECD 중간 경제전망) 매년 2회(3 월, 9월), 세계경제+G20 국가만 대상 2. OECD는 러·우 전쟁으로 `70년대 이후 최고 수준의 에너지 위기가 발생하며 전세계적인 고물가·저성장을 초래하고 있다고 진단 -. 이에, `23년 세계경제 성장률이 2.2%로 둔화된 후 `24년에는 2.7%로 완만히 회복할 것으로 전망 -. 아시아가 `24년까지 글로벌 회..

미국 중간선거(11.8) 결과와 시사점

☞ 美중간선거(11.8)에서 하원은 공화당이 다수당 유력, 상원에서는 양당간 초박빙 접전 중. 공화당 영향력 확대시 향후 바이든 행정부 정책 추진 동력 약화 가능성 -. 40년만의 인플레이션 등 극심한 경기침체와 소비자 체감물가가 선거 핵심 쟁점으로 분석 ☞ ▲재정지출 및 세제 정책에 변화, ▲에너지 정책은 친환경에너지와 더불어 전통에너지, 수력 등 병행 추진, ▲IRA는 일부 시행령 유연화 가능성 공존 ☞ 자국 중심 산업정책 및 공급망정책 등은 초당적인 지지를 얻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 대응 필요 1. 선거 결과1) (개요) ’22.11.8일(현지시간) 실시된 美중간선거에서 하원은 공화당이 다수당, 상원은 양당간 초박빙 접전 중 -. 상원 35명(임기 6년, 2년마다 전체 1/3 선출), 하원 435명..

필수 에너지·희토류 안보 및 온쇼어링 법안 (미국)

☞ 상원에 ‘필수 에너지․희토류 안보 및 온쇼어링 법안’ 계류 중 ☞ △전략적 물자 비축 △원산지 공개 △중국 희토류 배제 △불공정 무역 조사 등 내용 ☞ 미국은 우방국의 대중 희토류 의존도 관리까지 요구할 방침 ☞ 중국 희토류 3대 수입국인 우리나라도 향후 대응 모색 필요 1. 법안 개요 1) 현재 美상원에 ‘필수 에너지․희토류 안보 및 온쇼어링 법안’* 계류 중 * REEShore Act : Restoring Essential Energy and Security Holdings Onshore for Rare Earths Act ▶ 일명 ‘리쇼어 법안’(REEShore Act)은 공화당 소속 톰 코튼(Tom Cotton)과 민주당의 마크 켈리(Mark Kelly) 상원의원 에 의해 초당적으로 발의(1...

세계 원전 정책 현황 ('22.11)

1. 세계 원전 현황 1) 운영 현황 ▶ 2022년 11월 기준, 전 세계 33개 국가2)에서 439기의 원자로가 운영 중에 있으며, 총 설비용량은 394.6GW임. · 지역별로는 북미 111기, 극동아시아 116기, 서유럽 98기, 중앙&동유럽 73기, 중동 및 남아시아 32기, 남미 7기, 아프 리카 2기가 운영 중임. · 노형별로는 PWR 307기, BWR 61기, PHWR 47기, LWGR 11기, GCR 8기, FBR 3기, HTGR 1기 순임. ▶ 2000년 이후 원전 설비용량의 추이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증가추세이나 2011~2013년, 2019~2021년 사이에 감소하 였고 원자로 수는 2013년부터 증가하였으나 이 역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소폭 감소한 이후, 다시 증가하고 있음...

에너지 주요 용어 해설

1) 1인당 에너지소비(Energy consumption per capita) ▶ 해당 기간(주로 1년)에 공급 혹은 소비된 총에너지의 양을 인구수로 나눈 값을 의미하며 분석 목적에 따라 최종에너지를 기준으로 하거나 산업 혹은 가정 부문 만을 기준으로 하여 산출하기도 함 2) 국제 벙커링(International Bunkers) ▶ 현행 국가 에너지밸런스에서는 국적이나 선박종류의 구분 없이, 외항선박에 공급되는 연료유의 양을 의미함 3) 난방도일/냉방도일(Heating Degree Days/Cooling Degree Days) ▶ 일평균 외기 온도가 기준 온도(18℃) 보다 높거나(냉방) 낮아질(난방) 경우 기준 온도와의 차이를 일정 기간 동안 누적하여 합산한 값임 4) 납사(Naphtha) ▶ 원유의 ..

최근 경제 동향 ('22.10)

1. 종합평가 ▶ 8월 산업활동동향 주요지표는 서비스업 생산, 소매판매, 설비투자, 건설투자는 증가했으나, 광공업 생산은 감소 ▪ 생산은 서비스업 생산(전월비 1.5%, 전년동월비 7.1%)이 증가했으나, 광공업 생산 (전월비 △1.8%, 전년동월비 1.0%) 이 줄며 全산업 생산(전월비 △0.3%, 전년동월비 4.5%) 감소 ▪ 지출은 소매판매(전월비 4.3%, 전년동월비 2.3%), 설비투자(전월비 8.8%, 전년동월비 11.8%), 건설투자(전월비 5.0%, 전년동월비 7.5%)가 모두 증가 -. 9월 수출은 석유제품・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2.8% 증가 ▪ 소비자심리는 상승, 기업심리 실적, 전망은 하락 ▪ 8월 경기동행지수(순환변동치) 상승, 선행지수(순환변동치) 하락(전월대비 각각 ..

한국경제 발전사 - 9) 세계 10위권 경제대국대한민국의 향후 과제

9. 세계 10위권 경제대국 대한민국의 향후 과제 우리나라는 지난 70년 동안 엄청나게 큰 변화를 겪어 왔습니다. 우리나라가 이룬 경제성장의 업적은 전 세계 어디에도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1953년부터 2017년 사이 440배 남짓한 수준으로 증가했습니다. 1950년대 100달러도 안 되던 1인당 국민소득이 지금은 3만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물가수준 등 구매력평가기준으로 한 소득수준은 조만간 일본도 앞지를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가 주력으로 수출하는 품목도 1960년대에는 철광석 등과 같이 땅에서 캐는 광물과 누에를 키워 실을 뽑는 생사, 바다에서 잡는 오징어였는데 지금은 반도체, 자동차, 선박, 스마트폰 등 최첨단 제품들입니다. 수출입과 경제 규모로 볼 때 우리나라는 세..

한국경제 발전사 - 8) 도전과 비상 - 위기 극복과 정보통신 혁명

8. 도전과 비상 - 위기 극복과 정보통신 혁명 위기는 잘나갈 때 숨어서 다가오는 법입니다.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3저 호황’으로 경제는 순풍에 돛 단 듯이 잘나가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한강의 기적’이라는 세계적 찬사와 OECD 가입으로 온 국민이 자부심에 가득 차 있던 1997년 한국경제는 뜻하지 않은 외환위기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1997년 12월 발생한 외환위기는 한국의 은행과 기업들이 해외에서 단기로 빌려 온 달러 자금이 한꺼번에 한국에서 빠져나가면서 국가가 부도 위기에 처하게 된 사건입니다. 초유의 국가부도 위기 앞에서 온 국민이 뭉쳤습니다. ‘금 모으기 운동’을 전개했고 기업과 금융, 정부 부문 개혁을 단행하는 등 모든 힘을 다해 구조조정에 나섰으며 수출을 늘려 위기를 빠른 시간 ..

한국경제 발전사 - 7) 복지와 분배

7. 복지와 분배 1960년대 이래 대한민국이 이룩한 고도성장은 많은 긍정적인 효과로 인해 경제·사회의 발전을 가져왔지만, 그 이면에는 경제성장의 혜택에서 소외되거나 희생된 계층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자원이 부족하고 경제개발 재원이 거의 없던 한국이 빠른 성장을 위해 모든 가용재원을 한 방향에 집중하는 불균형 성장 전략을 취했기 때문입니다. 경제개발 초기에는 수출 공업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했기 때문에 이와 무관한 분야는 소외되었습니다. 1970년대 중화학공업을 집중 육성할 때는 경공업이나 중소기업, 영세 서비스업이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또한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여 생산비를 낮추고 수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려다 보니 기업주는 저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는 등 많은 혜택을 받았으나, 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들..

반응형